반응형
📌 종합소득세란?
종합소득세는 한 해 동안 발생한 근로, 사업, 이자, 배당, 연금, 기타 소득 등 모든 소득을 종합해 과세하는 세금입니다.
사업자뿐 아니라 프리랜서, 강사, 임대소득자 등 비정기적 수입이 있는 모든 국민에게 해당됩니다.
✅ 종합소득세 계산법 5단계 요약
① 총수입금액 파악하기
: 1년간 발생한 전체 수입을 항목별로 합산합니다. 사업소득, 프리랜서 수입, 임대료 등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.
② 필요경비 또는 경비율 적용하기
: 수입에서 **경비(비용)**를 뺍니다. 장부가 있으면 실제 경비, 없으면 단순/기준경비율을 적용합니다.
③ 소득금액 계산
= 총수입 - 필요경비
→ 이 금액이 실제 세금을 계산하는 과세표준의 기본이 됩니다.
④ 소득공제 적용
: 기본공제, 인적공제, 국민연금, 건강보험료, 기부금, 교육비, 의료비 등을 공제받습니다.
→ 연말정산과 마찬가지로 자료 누락 없이 철저히 준비해야 절세가 가능합니다.
⑤ 세율 적용하여 산출세액 계산
종합소득세 세율(2023~24년 귀속)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 |
---|---|---|
14,000,000원이하 | 6% | - |
14,000,000원 초과 50,000,000원 이하 | 15% | 1,260,000원 |
50,000,000원 초과 88,000,000원 이하 | 24% | 5,760,000원 |
88,000,000원 초과 150,000,000원 이하 | 35% | 15,440,000원 |
150,000,000원 초과 300,000,000원 이하 | 38% | 19,940,000원 |
300,000,000원 초과 500,000,000원 이하 | 40% | 25,940,000원 |
500,000,000원 초과 1,000,000,000원 이하 | 42% | 35,940,000원 |
1,000,000,000원 초과 | 45% | 65,940,000원 |
: 소득 구간별 누진세율(6~45%)을 적용합니다.
예) 과세표준이 1,200만 원 이하 → 6%, 4,600만 원 이하 → 15% 등.
👉 세율표는 국세청 또는 홈택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💡 종합소득세 자동 계산 사이트 활용법
- 국세청 홈택스 [자동계산 서비스]
- 간이세액 계산기 제공 앱: 손택스
- 민간 계산기 사이트: 세무법인, 회계 플랫폼 등에서 제공
→ 초보자일수록 자동계산기 활용으로 실수 방지가 가능합니다.
✍️ 마무리 조언
종합소득세는 복잡해 보이지만, 기본적인 흐름만 이해하면 충분히 셀프 계산도 가능합니다.
누락 없는 자료 정리와 경비 인정을 제대로 받는 것이 절세의 핵심입니다.
📅 신고 기한(2025년 6월 2일) 전까지 여유 있게 준비하세요!
반응형